본문 바로가기
728x90

전체 글230

[Lambda] Serverless 프레임워크 사용하기 요새 서버리스가 핫하다. 예전부터 핫했나..? 서버리스(serverless) 와 관련된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가자.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터들의 리소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. ※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는 확장성이 높고 자동화된 컴퓨팅 리소스(서버, 네트워크, OS, 스토리지 등)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이다. IaaS 제공업체는 서버, 하드 드라이브, 네트워킹, 가상화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고 고객은 OS, 미들웨어,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와 같은 자원들을 관리해야 한다. 대표적인 예로는 AWS, Microsoft.. 2021. 5. 18.
[ECS] AWS ECS 세팅하기 - 2. 서비스 생성 - 롤링 업데이트 AWS Elastic Container Services(ECS) 에서 제공하는 배포 유형에는 '롤링 업데이트' 와 '블루/그린 배포' 가 있다. 그 중 롤링 업데이트로 배포하는 방법부터 먼저 포스팅하겠다. 1. 작업정의 및 클러스터 생성하기 2. 서비스 생성하기 - 롤링 업데이트 3. 서비스 생성하기 - 블루/그린 배포 서비스 생성하기 - 롤링 업데이트 ~롤링롤린롤링~ 롤링 업데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새 서비스 배포가 시작되면 AWS ECS 서비스 스케쥴러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새작업으로 바꾼다. 즉, 새로운 작업이 띄워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내리기 때문에 무중단 배포가 가능하다. 1. 클러스터 > [서비스] 탭 > [생성] 버튼 클릭 2. 서비스 구성 3. 네트워크 구성 * 로드.. 2021. 5. 17.
[ECS] AWS ECS 세팅하기 - 1. 작업정의 및 클러스터 생성 원래 기존에는 AWS EC2 인스턴스에 Docker 컨테이너를 수동으로 띄웠으나, 이는 만만치 않게 귀찮은 작업이기에. AWS Elastic Container Services(ECS) 는 Docker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인프라 환경을 좀 더 편리하게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. Docker의 Docker에 의한 Docker를 위한... AWS ECS 세팅하기 작업은 총 3편으로 나눠 작성하려고 한다. 1. 작업정의 및 클러스터 생성하기 2. 서비스 생성하기 - 롤링 업데이트 3. 서비스 생성하기 - 블루/그린 배포 작업정의 생성하기 1. AWS Console 로그인 후 Elastic Container Registry 에 들어간다. 2. [작업 정의] > [새 작업 정의 생성] 버튼 클릭.. 2021. 5. 17.
[Vue.js] Jspreadsheet 사용하기 이전 포스팅(yonikim.tistory.com/29) 에선 jqxGrid 의 승리로 돌아갔으나, 구현하던 도중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였다. 분명 editable 을 false 로 해줬는데 copy&paste 가 된다. jqxGrid.....잠시나마 즐거운 시간이었어.....Say Goodbye...⭐️ 🙋‍♀️Jspreadsheet🙋‍♀️ vs jQWidgets > jqxGrid Jspreadsheet 사용하기 jexcel 설치 $ npm install jexcel ▷ src/App.vue ... ▷ src/components/Excel/Main.vue ▷ src/router/index.js import VueRouter from 'vue-router' import Home from '@/compone.. 2021. 5. 13.
[Vue.js] vue-cookie 사용하기 파트너사 페이지를 구축하던 중에 사용자 편의를 위해 컬럼 위치 조정도 되고 hide&show 도 가능하게끔 해서 사용자 별로 원하는 양식을 저장하게 해주자 라는 기획이 나왔다. (이 기획을 요니킴님이 싫어합니다.) 1. vue-cookie 사용하기 2. localStorage 사용하기 Cookie vs LocalStorage Cookie 는 서버측과 클라이언트측 양쪽에서 데이터 접근이 가능한 반면 LocalStorage 는 로컬 환경에서만 컨트롤된다. 즉, 서버측에서 데이터를 사용해야 할 일이 잦다면 Cookie 를, 아니면 LocalStorage 를 사용하는게 좋다. Cookie LocalStorage 도입 시기 HTML5 이전에 도입 HTML5 와 함께 도입 만료일 만료일이 있음 만료일이 없음 지우기.. 2021. 5. 13.
[EC2] AWS EC2 볼륨 크기 수정하기 서버의 디스크 용량은 언제나 부족하다. IDC 서버를 사용했을 때는 디스크 볼륨 마운트 작업 진행하는게 큰일이었고 한번에 잘되면 참 좋으련만 꼭 이슈가 나서 문제였는데, AWS EC2 는 아주 간단했다. AWS EC2 볼륨 크기 수정하기 1. AWS EC2 인스턴스 클릭 > [스토리지] 탭 클릭 > 볼륨 ID 클릭 2. [작업] > 볼륨 수정 클릭 3. 크기 입력 (볼륨의 크기를 줄일수는 없다...⭐️) 4. AWS EC2 서버 접속 $ lsblk $ sudo growpart /dev/${추가된 볼륨} 1 $ sudo resize2fs /dev/${마운트 대상} $ df -h 2021. 5. 12.
728x90
반응형